맨위로가기

알비스가 말하기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비스가 말하기를은 드베르그 알비스가 토르의 딸(혹은 스루드)을 아내로 달라고 요구하며 시작되는 이야기이다. 토르는 알비스에게 지혜를 시험하는 질문을 던지며, 알비스는 인간, 에시르, 바니르, 요투나르, 드베르그, 엘프 등 다양한 종족의 언어로 답한다. 토르는 알비스의 지식에 감탄하지만, 해가 뜨자 알비스는 돌로 변하고 만다. 이 이야기는 다양한 종족이 세상 만물을 부르는 방식을 보여주는 문답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식과 권력의 관계, 다양한 관점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창작 시기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10세기 이전 또는 12세기 스칼드 시 부흥기라는 주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다 - 고 에다
    고 에다는 북유럽 신화와 영웅 전설을 담은 고대 노르드어 시가 모음집으로, 스노리 스투를루손의 《에다》와 구별되며, 13세기 《왕의 사본》에 기록되어 신화시와 영웅시를 포함한 다양한 시가들로 구성되어 스칸디나비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에다 -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은 《고 에다》에 수록된 서사시로, 오딘이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와 지혜를 겨루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지혜, 권력, 운명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알비스가 말하기를

2. 내용

돌이 된 알비스.


알비스는 토르의 모든 질문에 답했지만, 해가 뜨자 돌로 변해버렸다.[7] 이는 토르가 힘이 아닌 지혜로 문제를 해결한 이례적인 경우이다.

2. 1. 줄거리



드베르그인 알비스가 토르에게 찾아와, 토르의 딸이 예전에 자기하고 약속했다면서 그녀를 자기 신부로 달라고 주장한다. 토르는 그때 집에 없었기에 안 된다면서 거절한다. 그리고 토르는 알비스에게 자신의 질문에 모두 맞게 대답하면 딸을 데려가도 좋다고 말한다. 알비스는 인간, 에시르, 바니르, 요투나르, 드베르그, 알프 등 신화 속 모든 존재들의 말로 대답한다. 예를 들어 알비스에 따르면 하늘은 다음과 같은 이름들이 있다.



알비스는 토르의 질문들에 대답하는 데 성공했으나, 떠오르는 해의 빛을 받고는 돌로 변해 버린다.[7] 토르가 지혜보다는 물리적 힘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이야기는 토르가 지혜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이다.

2. 2. 토르와 알비스의 문답

드베르그인 알비스는 토르의 딸(스루드로 여겨짐)과 결혼하기 위해 토르를 찾아온다. 토르는 알비스에게 세상 만물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알비스는 이에 답한다.[7]

토르는 알비스에게 땅, 하늘, 달, 태양, 구름, 바람, 고요함, 바다, 불, 숲, 밤, 씨앗, 맥주에 대해 여러 종족(인간, 에시르, 바니르, 요투나르, 드베르그, 엘프 등)이 부르는 이름을 묻는다. 알비스는 각기 다른 존재들이 사용하는 명칭을 제시하며 자신의 해박한 지식을 과시한다.

예를 들어 하늘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답한다.

:인간들은 "하늘"이라 부르고,

:에시르는 "저 높은 곳"이라 하고,

:바니르는 "바람을 짜는 자"라 하고,

:요투나르는 "위 세계"라 하고,

:알파르는 "공평한 지붕"이라 하고,

:드베르그는 "물이 떨어지는 저택"이라 한다.

이러한 문답은 (제9-34절)까지 계속되며, 알비스는 모든 질문에 답하는 데 성공하지만, 결국 새벽이 되어 햇빛을 받고 돌로 변한다. 이는 토르가 힘이 아닌 지혜로 문제를 해결하는 이례적인 이야기이다.

2. 2. 1. 단어 목록

mǫnnomnon아스 신들
ásomnon바니르 신들
vanirnon거인
iotnarnon요정들(소인들)[8]álfarnon하늘의 신들
upreginnon신들
goðomnon소인
dvergarnon명부(헬)에서
helionon아스 신의 아들들
ása synirnon더 높은 신들
ginreginnon사람들
halirnon수퉁그의 아들들
Suttungs synirnon9-10대지
iorðnon1예르드
대지
iorðnon2폴드
들판
foldnon3베그

veganon4이그렌
푸르름
ígronnon5그로안디
푸르르게 하는 것
gróandinon6아우르
모래밭
aurnon-------11-12하늘
himinnnon1히민
하늘
himinnnon-3빈도브니르
바람을 엮는 것
vindofninon4우프헤임
위의 나라
uppheimnon5파그라레프
아름다운 지붕
fagraræfrnon-2흐류르니르
별을 흩뿌린 것
hlýmirnon6드뤼판 살
물방울 떨어지는 관
driúpan salnon-----13-14달
máninon1마니

máninon--4스키운디
전광석화
scyndinon6아르탈라
시간 재기
ártalanon-2휄린
흠결
hlýmirnon5세인

seinnon3흐베르판다 흐벨
회전하는 바퀴
hverfanda hvélnon----15-16태양
sólnon1
태양
sólnon--4에이글로
영원히 빛나는 것
eyglónon5파그라흐벨
빛나는 바퀴
fagrahvélnon-2순나
남쪽의 빛
sunnanon3드발린스 레이카
소인을 괴롭히는 것
Dvalins leicanon-6알스키르
매우 밝은 것
alscírnon---17-18구름
scýnon1스키우
구름
scýnon-3빈드플로트
바람에 떠다니는 것
vindflotnon4우르반
이슬비 바람
úrvánnon5베드르메긴
날씨의 힘
veðrmeginnon-2스쿠르반
소나기 바람
scúrvánnon-6히알름 훌리즈
숨은 투구
hiálm huliznon----19-20바람
vindrnon1빈드
바람
vindrnon--4에피르
외침
opinon5뒨파라
요란하게 질주하는 것
dynfaranon-2바푸드
흔들리는 것
váfuðrnon-6흐비두드
돌풍
hviðuðnon-3그네기유드
울부짖음
gneggiuðnon--21-22고요함
lognnon1로그운
고요함
lognnon-3빈드스로트
무풍
vindslotnon4오프흐류
답답한 공기
ofhlýnon5다그세비
해를 부드럽게 하는 것
dagsefanon-2레기
고요함
læginon6다그스 베로
해의 정지
dags veronon-----23-24바다
marrnon1세르
바다
særnon-3보그
파도치는 물결
vágnon4알헤임
뱀장어의 고향
álheimnon5라가스타프
술값
lagastafnon-2실레기아
두루 넘치는 물결
sílægianon6디우판 마르
깊은 바다
diúpan marnon-----25-26불
eldrnon1엘드

eldrnon2푸니
불꽃
funinon3바그
흔들리는 것
vagnon4프레키
탐욕스러운 것
frecannon---5포르브레니르
타는 것
forbrenninon6흐로두드
빠른 것
hrǫðuðnon----27-28숲
viðrnon1비드

viðrnon-6보운드
수풀
vǫndnon4엘디
불의 양식
eldinon5파그리마
아름다운 가지
fagrlimanon-2발라르 파크스
들판의 갈기
vallar faxnon---3흘리드탕
산비탈의 해초
hlíðþangnon-29-30밤
nóttnon1노트

nóttnon--4오리오스
무광
óliósnon5스베픈가만
잠의 기쁨
svefngamannon-2니욜
어둠
niólnon6드라움니오르
꿈의 직조자
draumniorunnon--3그리모
숨기는 것
grímonon--31-32씨앗
sáðnon1뷕그
보리
byggnon-3바크스트
생장
vaxtnon4에티
음식
ætinon5라가스타프
곡물
lagastafnon-2바르
곡물, 특히 보리
barrnon-6흐니핀
유연한 것
hnipinnnon----33-34맥주
ǫlnon1에르
맥주
ǫlnon2비오르
맥주
biórrnon3베이그
취하게 하는 음료
veignon4흐레이나뢰그
생(날것) 음료
hreinalǫgnon----5미오드
벌꿀술
mioðnon---6숨블
술 연회
sumblnon


3. 해석 및 의의

Alvíssmálnon은 세상 만물에 대해 다양한 종족들이 사용하는 다른 이름을 제시하여, 같은 대상이라도 관점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하늘은 인간, 에시르, 바니르, 요투나르, 알파르, 드베르그 등 종족에 따라 다르게 불린다.

작품의 창작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내용 분석을 통해 아이슬란드의 기독교화 이전인 10세기 이전 창작설과 12세기 스칼드 시 부흥기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이 있다.[1][2]

3. 1. 다양한 관점의 중요성

알비스는 세상 만물에 대해 다양한 종족들이 사용하는 다른 이름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하늘의 경우, 인간은 "하늘", 에시르는 "저 높은 곳", 바니르는 "바람을 짜는 자", 요투나르는 "위 세계", 알파르는 "공평한 지붕", 드베르그는 "물이 떨어지는 저택"이라고 부른다. 이는 동일한 대상이라도 관점에 따라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2. 창작 시기 논쟁

알비스가 말하기를의 창작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내용 분석을 통해 어떤 요소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여러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한 가지 설은 토르 언급과 신화적 존재에 대한 언급이 해당 문화의 종교적 믿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아이슬란드의 기독교화 이전인 10세기 이전에 창작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다른 설은 후기 스칼드 시에서만 발견되는 단어의 존재를 지적하며, 이는 12세기 스칼드 시 부흥기에서 비롯되었음을 시사한다.[1][2]

참조

[1] 서적 Altnordische Literaturgeschichte de Gruyter
[2] 서적 Lexikon der altnordischen Literatur Kröner
[3] 문서 伊藤訳「エッダ詩」での題。
[4] 문서 谷口訳『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での題。
[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6] 문서 「スノリ『エッダ』「詩語法」訳注」
[7]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8] 문서 原文では álfar だが、谷口訳では、第10スタンザでは「小人たち」、それ以外のスタンザでは「妖精たち」と訳されてい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